경향신문 문화면에 건축과 관련하여 연재되고 있는 글이 있습니다.
[관련글]
2013/03/03 - [아빠 서재(참고)/정보] - 건축과 삶 / 건축가 그들은 누구인가...
* 폰으로 작성된 글이어서 PC에서 다시 작성(현재글) 및 추가작성 하고 있습니다.
양상헌 순천향대 건축학과 교수님 께서 최근에 글을 올려주고 계시는데요.
이번 글은 건축가들이 누구이며 건축학도들은 어떤 길을 걷고 있는지, 현실과 비현실에대해서도 말씀해주시고
더불어 저희 사무실 사진이 참고사진으로 실렸습니다.
기자님께서 오셔서 사진도 촬영해가셨는데 시간적으로 외근을 나가신 분들이 많아 다소 평화로운(?) 모습의 사진에 담겨졌습니다.
윽.. 촬영 일정을 듣긴 했는데... 옷도 좀 입고... 사무실 정리도 좀 해놓고...
사진 빨 좀 받게 해놨어야 하는데 ㅡ.ㅜ...
하지만 반대로 보면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내비치는 것도 필요(?) 하다 싶기도 하네요.
인터넷 경향신문 사이트에 올라온 기사내용을 가져왔습니다.(사무실 사진 포함)
연재 글을 하나하나 읽어보시면 건축에 대한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어질 거라 생각됩니다.
참고로
연재순서는
유현준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님의 글이 시작입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문훈 문훈건축발전소 소장님 이시구요.
세번째가 현재 연재중이신
양상현 순천행대 건축학과 교수님 이 십니다.

[건축과 삶](Ⅲ-4) 건축가, 그들은 누구인가
누구나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건축물 안에서 생활하지만 정작 어떤 사람이 이 공간을 설계했는지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을 갖지 않는다. 건축물을 구상하고 디..
경향신문ㅣ양상현 순천향대 건축학과 교수ㅣ2013. 03. 01 18:52
 디자인, 모자라거나 혹은 넘치거나](http://img.khan.co.kr/news/r/100xX/2013/02/22/l_2013022301002240900235041.jpg)
- [건축과 삶](Ⅲ-3) 디자인, 모자라거나 혹은 넘치거나
- 1969년 2월4일, 한 일간지에는 경기도청을 순시한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사항이 소개되었다. “고속도로 접도구역 내 가옥을 이주하고 지붕을 개량할 것.” 경..
- 경향신문ㅣ양상현 순천향대 건축학과 교수ㅣ2013. 02. 22 20:43
 패션과 성형 그리고 건축](http://img.khan.co.kr/news/r/100xX/2013/02/15/l_2013021601001485100150721.jpg)
- [건축과 삶](Ⅲ-2) 패션과 성형 그리고 건축
- 우리나라 최상층 부자들의 동네, 보통사람들이 꿈꾸기 힘들게 높은 성이 되어버린 그곳을 사랑으로 뛰어넘는 아슬아슬한 이야기. 최근 인기를 끌었던 그 드라..
- 경향신문ㅣ양상현 순천향대 건축학부 교수ㅣ2013. 02. 15 18:50
 권력, 건축을 지배하다](http://img.khan.co.kr/news/r/100xX/2013/02/08/l_2013020901000723100084271.jpg)
- [건축과 삶](Ⅲ-1) 권력, 건축을 지배하다
- 건축은 사람들의 마음에 감정을 만들어낸다. 인간의 신체를 압도하는 커다란 형체들은 사람들 속에 특별한 감정을 일으킨다. 우뚝 솟은 나무, 바위, 산 등은..
- 경향신문ㅣ양상현 순천향대 건축학과 교수ㅣ2013. 02. 08 19:52
 룸살롱 - 욕망이 춤추는 지하도시](http://img.khan.co.kr/news/r/100xX/2013/02/01/l_2013020201000006300009591.jpg)
- [건축과 삶](Ⅱ-4) 룸살롱 - 욕망이 춤추는 지하도시
- 여기는 금녀의 집이던가요. 밀실 문화의 최고봉으로 치자면 풀살롱이 단연 으뜸이겠지만 나는 애석하게도 그 세계를 모릅니다. 나는 야설이라도 한 편 써야 ..
- 경향신문ㅣ박송이 시인ㅣ2013. 02. 01 19:47
 찜질방 - 온돌이 광장으로 바뀌다](http://img.khan.co.kr/news/r/100xX/2013/01/25/l_2013012601003206800265341.jpg)
- [건축과 삶](Ⅱ-3) 찜질방 - 온돌이 광장으로 바뀌다
- 이상하기도 하지. 여긴 너무 넓습니다. 온갖 군상들이 모여 있습니다. 온 동네 내로라하는 잡것들 말입니다. 오해는 마십시오. 저 잡것들이야말로 진짜배기일..
- 경향신문ㅣ그림 문훈 문훈건축발전소 소장·글 박송이 시인ㅣ2013. 01. 25 20:09
 모텔 - 그 익명의 보금자리](http://img.khan.co.kr/news/r/100xX/2013/01/18/l_2013011901002015100187181.jpg)
- [건축과 삶](Ⅱ-2) 모텔 - 그 익명의 보금자리
- 미국에 있는 디즈니랜드도 아니고 유럽 어느 곳의 고성도 아니다. 가짜이면서도 뻔뻔하고 당당하게 들어선 건물, 무어라 설명하기에 난처한 이국적 판타지…..
- 경향신문ㅣ문훈 문훈건축발전소 소장ㅣ2013. 01. 18 21:15
 한강 - 다른 상상을 허하라](http://img.khan.co.kr/news/r/100xX/2013/01/11/l_2013011201001129000111621.jpg)
- [건축과 삶](Ⅱ-1) 한강 - 다른 상상을 허하라
- 서울엔 강도 있고 산도 있다. 아무리 크고 높은 건물도 강과 산, 자연 앞에서는 초라해진다. 사람이 만든 건물이 자신의 허리를 파고들어도 자연은 의연하게..
- 경향신문ㅣ문훈 문훈건축발전소 소장ㅣ2013. 01. 11 20:38
 포도주 같은 건축](http://img.khan.co.kr/news/r/100xX/2013/01/04/l_2013010501000244900041681.jpg)
- [건축과 삶](Ⅰ-6) 포도주 같은 건축
- 팰럼시스트(Palimpsest)란 단어가 있다. 이 단어는 원래 양피지 위에 글자가 여러 겹 겹쳐서 보이는 것을 말한다. 종이가 발명되기 전 양피지에 글을 쓰던 시절..
- 경향신문ㅣ유현준 홍익대 건축대학 교수ㅣ2013. 01. 04 19:30
 강남 이야기](http://img.khan.co.kr/news/r/100xX/2012/12/28/l_2012122901003506900310021.jpg)
- [건축과 삶](Ⅰ- 5) 강남 이야기
- 서울 강남역에서 교보타워 4거리에 이르는 뒷골목은 20대의 욕망이 분출하는 거리다. 성형외과, 보디숍, 한의원, 유학원, 외국어학원, 제화점, 미장원, 맥줏집..
- 경향신문ㅣ유현준 홍익대 건축대학 교수ㅣ2012. 12. 28 20:17
 공간과 권력 - 펜트하우스가 비싼 이유](http://img.khan.co.kr/news/r/100xX/2012/12/21/l_2012122201002476100243073.jpg)
- [건축과 삶](Ⅰ-4) 공간과 권력 - 펜트하우스가 비싼 이유
- 올 상반기 국내에서 거래된 아파트 중 가장 비싼 아파트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의 갤러리아 포레로 조사됐다. 면적이 271㎡(82평)에 이르는 이 아파트 실거래..
- 경향신문ㅣ유현준 홍익대 건축대학 교수ㅣ2012. 12. 21 21:51
 어떤 거리는 왜 걷고 싶은가](http://img.khan.co.kr/news/r/100xX/2012/12/14/l_2012121501001612300162512.jpg)
- [건축과 삶](Ⅰ-3) 어떤 거리는 왜 걷고 싶은가
- 걷고 싶은 거리의 의미를 찾기 위해 먼저 걷고 싶은 거리와 성공적인 거리는 다르다는 것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보편적으로 서울 강남의 테헤란로는..
- 경향신문ㅣ유현준 홍익대 건축대학 교수ㅣ2012. 12. 14 21:16
 뉴욕 이야기 - 도시는 살아 있다](http://img.khan.co.kr/news/r/100xX/2012/12/07/l_2012120801000608500079711.jpg)
- [건축과 삶](Ⅰ-2) 뉴욕 이야기 - 도시는 살아 있다
- 건축은 사회, 경제, 역사의 산물이며 도시는 살아 움직인다. 이 명제를 뉴욕의 로프트(Loft)처럼 잘 보여주는 건축 형태도 없다. 로프트의 사전적인 정의를 ..
- 경향신문ㅣ유현준 홍익대 건축대학 교수ㅣ2012. 12. 07 20:49
 현대 도시들은 왜 아름답지 않은가](http://img.khan.co.kr/news/r/100xX/2012/11/30/l_2012120101000003200354371.jpg)
- [건축과 삶](Ⅰ-1) 현대 도시들은 왜 아름답지 않은가
- 우편엽서에 어울릴 만큼 건축적으로 아름다운 몇몇 도시를 떠올린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흰색 회벽으로 만들어진 그리스의 산토리니 섬이나 벽돌로 아름답게 ..
- 경향신문ㅣ유현준 홍익대 건축대학 교수ㅣ2012. 11. 30 21:41